Java this

객체 지향 언어인 java를 사용하면 어김없이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인스턴스 자신을 가리키는 참조 변수이다. 메서드 내에서 프로퍼티 명과 멤버변수명이 같을 경우 멤버변수를 가리킬때 사용한다.

private String name;

pub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특히 이러한 형태로 Setter 메서드를 생성할 때 주로 사용하게 되는데 JavaScript에도 this가 있다.

JavaScript this

* 렉시컬 스코프

var x = 1;

var foo : function() {
	var x = 10;
	bar();
}

var bar : function() {
	console.log(x);
}

foo();
bar();
  • 위와같이 두 개의 함수를 선언하고 실행했다. 결과는 둘 다 1이 나올것이다. 이처럼 렉시컬 스코프는 어디서 실행하였는지가 중요한게 아니라 어디서 선언하였는지 중요한 것이다. foo()함수에서 실행했던간에 bar()함수는 전역에서 선언하여 전역 변수를 사용하게 된 것이다.

자바스크립트에서 this는 호출되었을때 동적으로 바인딩 된다.

foo() {
	console.dir(this);
}

foo(); //window

var obj = {foo : foo;} 
obj.foo(); // obj

var instance = new foo(); //instance

이런식으로 말이다. this는 기본적으로 전역변수에 바인딩 된다. 심지어 내부 함수로 설정되었더라도 일반 함수, 메소드, 콜백함수 어디에서 선언되었든 관게없이 this는 전역객체를 바인딩한다.

 

'FRONT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Front] javascript의 변수와 자료형  (0) 2020.06.14
[Front] JavaScript 기초  (0) 2020.06.14
js에서 기본적인 변수 선언 과 형식

기본적으로 java로 이루어진 언어이기 때문에 연산자나 기호는 java랑 비슷하다 하지만 변수 선언 만큼은 다르다.

var 변수이름 = 값;

이런 형식으로 변수를 선언하는데 java처럼 자료형을 지정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초기화와 동시에 자료형이 결정된다. 따라서 초기화하지 않고 선언만하게되면 undefined자료형을 가진다. 이런 방식의 언어를 동적타입의 언어라고 한다.

js에서 변수를 선언하는 방법은 이렇게 3가지가 있다. 세가지 변수 선언 방식이 차이점을 가지는 포인트 4가지는 재선언, 재할당, 호이스팅, 범위가 있다.

  1. var : 재선언 가능, 재할당 가능, 호이스팅이 이루어진다, 함수 레벨 스코프다.
  2. let : 재선언 불가능, 재할당 가능, 호이스팅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블록 레벨 스코프다.
  3. const : 재선언 불가능, 재할당 불가능, 호이스팅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블록 레벨 스코프다.
  4. 선언하지 않음 : 선언하지 않고도 변수를 사용해서 값을 할당할 수 있다. 선언하지 않고 변수명을 통해서 값을 찾을땐 암시적 전역변수로 선언이 되어 불러진다. 이는 호이스팅이 일어나지 않으며 추후에 오류를 만들 수 있다. 따라서 'use strict'를 선언하여 엄격한 룰 적용을 하는것으로 방지할 수 있다.

* 여기서 호이스팅이란 해당 선언문을 스코프의 선두로 가져간것 처럼 동작한다는 것이다.

* javascript의 문자열은 inmmutable(변경 불가능)하므로 문자열의 일부를 수정할 수 없고 새로운 재할당을 해도 문자열이 바뀌는것이 아니라 새로운 문자열이 생성되고 참조하는 주소가 바뀌는 것이다.

* 함수 레벨 스코프는 선언된 함수 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함수 외부에서 선언하게 되면 전역 변수가 되게 된다. 그리고 var선언 특성상 재 할당이 가능하므로 변수가 바뀌는 위험이 있을 수 있다.

* 블록 레벨 스코프는 선언된 블록 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var의 단점으로 인해 ES6부터 let과 const가 생기게 됐다.

 var t = 1;
 document.write(t+”<br>”); // 1
 var t = 2;
 document.write(t+”<br>”); // 2
 t = 3;
 document.write(t+”<br>”); // 3
 document.write(r+”<br>”); // undefined
 var r = 4;
 document.write(u+”<br>”); //

이 처럼 var는 t를 두번 선언하는 재선언, t의 값 변경인 재할당, r을 아래에 선언해도 값은 할당이 안되지만 선언 자체가 가능하다. 선언 자체가 되지 않으면 u처럼 아무 결과도 나오지 않는다.

 let t = 1;
 document.write(t+”<br>”); // 1
 let t = 2;
 document.write(t+”<br>”); //

이렇게 let으로 선언하면 두 번째 let t=2에서 아무 스크립트가 나오지 않는것을 볼 수있다.

 let t = 1;
 document.write(t+”<br>”); // 1
 t = 2;
 document.write(t+”<br>”); // 2
 document.write(r+”<br>”); //
 let r = 3;

이처럼 재할당을 할 경우 값이 제대로 나오는 것을 볼 수 있고 호이스팅이 이루어지지 않아 변수 선언자체가 되지 않는다.

 const t = 1;
 document.write(t); // 1
 const t = 2;
 document.write(t); // 
 t = 3;
 document.write(t); // 
 document.write(r); //
 const r = 4;

const는 재선언, 재할당, 호이스팅이 불가능한것을 볼 수 있다.

 

<!DOCTYPE html>
<html>
  <head>
    <title>javascript</title>
    <meta charset="utf-8">
  </head>
<body>
  a<br>
<script>
  document.write("b"+"<br>");
  var a,b,c;
  a=5;
  b=6;
  c=a+b*10;
  let d = 'string';
  let e = ' linked string';
  let f = a+" "+d;
  document.write(a+"<br>");
  document.write(c+"<br>");
  document.write(d+"<br>");
  document.write(f);
</script>
</body>
</html> 

또한 js는 객체지향 언어이기 때문에 객체도 작성이 가능하다. 항상 key:value형식으로 작성해야한다.

<!DOCTYPE html>
<html>
  <head>
    <title>javascript</title>
    <meta charset="utf-8">
  </head>
<body>
 
<script>
   var person = {
  firstName: "John",
  lastName : "Doe",
  id     : 5566,
  fullName : function() {
    return this.firstName + " " + this.lastName;
  }
};
    document.write(person.firstName);
    document.write(person.fullName());
</script>
</body>
</html> 

이런식으로 var 객체명={속성:속성값}; 형식으로 선언해서 사용하면 된다.

객체 이므로 메서드 선언도 가능하다. 단, key:value 형태를 유지한다. 메서드명 : function() {}형식이다.

 

javascript의 자료형

javascript의 자료형으로는 

  1. number : int,float 전부 하나의 자료형으로 표현된다.
  2. string : 문자열
  3. null
  4. undefined : 할당되지 않았다.
  5. Boolean

여기까지 원시타입의 immutable(primitive)한 자료형으로 변경이 불가능하다. 실제로 값을 변경 할 수 없는것이 아니라 메모리 구조상 참조하고 있는 주소에 할당된 값을 변경할 수 없다. 따라서 재 할당시에 메모리에 새로 할당될 값이 생성되고 변수가 참조하고 있는 위치가 변경되는 것이다.

 

  6. Object : 객체 타입

 

객체 타입은 변경이 가능하다.

'FRONT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Front] Java this와 JavaScript this  (0) 2020.06.25
[Front] JavaScript 기초  (0) 2020.06.14

[Front] JavaScript

JavaScript

javascript는 html과 css로 이루어진 정적 페이지를 동적 처리를 할 수 있게 하는 언어이다. html5 이후 부터 부쩍 사용량이 증가한 객체지향의 스크립트 언어이다. 따라서 html문서에서 작성하는것이 기본 원칙이다.

이런식으로 html로 이루어진 문서에 동적 처리를 해 줄 수 있게 하는 언어다.

* 참고로 javascript는 대소문자를 구분한다.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title>javascript</title>
</head>
<body>
  <h2>javascript</h2>
  <p id="i">hello this is javascript</p>
  <input type="button" onclick='document.getElementById("i").innerHTML = "by input"' value="이곳을 클릭하시오">
  <button onclick='document.getElementById("i").innerHTML="by button"'>이곳을 클릭하시오</button>
  <input type="reset">
  <input type="submit" onclick="alert('뭐야 되나?')">
  </input>
  <br>
  <script type="text/javascript">
    document.write("자바스크립트")
  </script>
 </body>
</html>

(*) 여기서 input이랑 button으로 똑같은 기능을 하는 두 개를 작성했는데 이유는 문득 input으로 만든 버튼과 button으로 만드는것이 다를까 라는 근본적인 궁금증 때문이다. input으로 만드는것으로 연습해 보자

script태그

script태그 내에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작성하면 된다.

<!DOCTYPE html>
<html>
  <head>
    <title>javascript</title>
    <meta charset="utf-8">
  </head>
<body>

<h2>JavaScript in Body</h2>
  
<p id="demo"></p>
  
<script type="text/javascript">
  document.write("hello");
  document.getElementById("demo").innerHTML = "My First JavaScript";
</script>

</body>
</html> 

그럼 결과를 볼 수 있다. 다만 script를 가장 마지막에 선언해야 한다. 이유는 모르겠다. p태그를 script태그 아래에 선언 했더니 아무것도 나오지 않는다. 그 이유는 좀 더 찾아서 새로 포스팅 해보겠다.

function(함수)

js는 객체지향의 함수이므로 이벤트 실행시에 발생하는 함수를 작성할 수 있다.

<!DOCTYPE html>
<html>
  <head>
    <title>javascript</title>
    <meta charset="utf-8">
  </head>
<body>

<h2>JavaScript in Body</h2>
  
<p id="demo">함수 실행 전</p>
<input type="button" value="함수 실행" onclick="func()"><br><br>
<input type="button" value="다른 함수" onclick="fun()"><br><br>
<script>
  document.write("default write");
  function func(){
    document.getElementById("demo").innerHTML = "함수 실행 됨";
  }
  function fun() {
    document.write("다른 함수");
  }
</script>
  
</body>
</html> 

이런 식으로 script태그 내에 선언하면 된다. 이벤트 부분에 함수를 두어 해당 이벤트 발생 시에 해당 함수가 실행된다. 여기서 document.write()를 사용해서 하면 다음에 자동으로 추가될줄 알았는데 새로운 문서가 생기고 거기에 write되는것을 확인했다. 앞으로 함수에 document.write()는 잘 안쓸것 같다.

 

혹은 .js 로 끝나는 확장자를 가진 파일을 만들어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마치 css적용하는것 처럼 말이다. 하지만 css와 다른점이 있다면 css는 link로 연결하고 style태그를 통해서 다른 css효과를 줄 수 있지만 script는 그렇지 않다. 두 개의 함수를 각각 하나는 script태그 내부에 하나는 js파일에 두고 실행하면 script태그 내에 있는 함수는 작동되지 않음을 볼 수 있다.

<!DOCTYPE html>
<html>
  <head>
    <title>javascript</title>
    <meta charset="utf-8">
  </head>
<body>

<h2>JavaScript in Body</h2>
  
<p id="demo">함수 실행 전</p>
<input type="button" value="함수 실행" onclick="func()"><br><br>
<input type="button" value="다른 함수" onclick="fun()"><br><br>
<script src="my.js">
</script>
  
</body>
</html> 
document.write("default write");
  function func(){
    document.getElementById("demo").innerHTML = "함수 실행 됨";
  }
function fun() {
    document.write("다른 함수");
}

이렇게 작성하면 전과 동일한 효과를 가지는 코드가 완성이 된다. 이렇게 외부 script파일을 이용하면 코드를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출력

java스크립트를 통해서 출력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자

  1. innerHTML : HTML요소로 작성해서 출력
  2. document.write() : HTML출력에 쓰기
  3. window.alert() : 경고 상자에 쓰기
  4. console.log() : 브라우저 콘솔에 쓰기
<!DOCTYPE html>
<html>
  <head>
    <title>javascript</title>
    <meta charset="utf-8">
  </head>
<body>

<h2>JavaScript in Body</h2>
  
<p id="demo">함수 실행 전</p>
<input type="button" value="경고" onclick="window.alert('경고한당')"><br><br>
<script>
    document.getElementById("demo").innerHTML="함수 실행 됨";
    console.log(4+1);
</script>
  
</body>
</html> 

이런식으로 작성하면 될 것 같다.

 

'FRONT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Front] Java this와 JavaScript this  (0) 2020.06.25
[Front] javascript의 변수와 자료형  (0) 2020.06.14

html 공부를 하다가 가장 많이 보는 태그 중 하나인 태그를 따로 정리하려고 한다. 그 이유는 속성이 여러가지인데 이를 다 알아야 나중에 사용할 수 있을것 같았다.

input tag 속성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title>JS Bin</title>
</head>
<body>
<label for="lname">last name : </label>
<input type="text" id="lname" name="lname"><br>
<input type="button" title="tooltip" value="버튼"><br>
<input type="checkbox" value="checkbox">checkbox<br>
<input type="color" id="color1"><br>
<input type="date"><br>
<input type="email"><br>
<input type="file"><br>
<input type="hidden" value="hidden"><br>
<input type="image"><br>
<input type="number" max="12" min="0"><br>
<input type="password"><br>
<input type="radio">radio button <br>
<input type="range"><br>
<input type="reset"><br>
<input type="search"><br>
<input type="tel"><br>
<input type="time"><br>
<input type="url"><br>
<input type="week"><br>
<input type="submit" value="작성 완료">
</body>
</html>

이렇게나 많다. 사실 전부 외울 순 없지만 이렇게 어떤 속성들이 있는지 알고 필요할 때 생각나서 찾아볼 수 있게 하는것이 중요한것 같다.

참고로 <label>태그는 for속성으로 적어둔 아이디와 다른 input태그의 id와 일치하게 작성하면 label태그로 작성해둔 텍스트를 클릭하는 것으로 작성 혹은 선택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속성이 checkbox였다면 체크 할 수 있다. 위 예제에서는 last name의 텍스트를 클릭하면 해당 id와 연결된 text에 작성할 수 있게 마치 텍스트 필트를 클릭한거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FRONT > Html' 카테고리의 다른 글

[Front] HTML 작성 가이드  (0) 2020.06.11
[Front] HTML 태그(tag)  (0) 2020.06.10
[Front] HTML 기초  (0) 2020.06.03

지금까지 html로 Layout을 잡았다. 하지만 CSS로 Layout을 잡을 수 있다.

Display

CSS로 Layout을 수정할 수 있는 속성 중 하나로 사용하는 요소(태그)가 block단위인지 inline단위인지 잘 알고 사용해야 한다.

1.block : 블럭 단위로 영역이 형성되는 레이아웃으로 대표적인 요소로 div와 p가 있다.

2.inline : line혹은 작성한 문자열 단위로 영역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보자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title>CSS Layout</title>
</head>
<body>
<div style="color:red">
  이곳은 div영역입니다.
  block단위 요소 입니다.
</div>
<p style="color:blue">
  이곳은 p영역입니다.
  block단위 요소 입니다.
</p>
<span style="color:purple">이곳은 span영역입니다. inline단위 요소입니다.</span>
이곳은 body 영역입니다.
</body>
</html>

이처럼 div와 p는 block 단위의 요소인것을 볼 수 있다. 여백이 남았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블럭 밖에 다음 요소가 위치하는것을 볼 수 있다. span은 inline요소이므로 문자열 단위로 영역이 형성되어 다음 문자열이 바로 옆에 위치함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속성을 가진 요소들을 수정 해 보면

이러한 block요소들을 제거 해 보자

* {
  border:1px solid blue;
}
div,p{
 display: inline; 
}

span{
  display: block;
}

위 css파일만 적용 시키면 span과 div의 display가 바뀐것을 볼 수 있다.

position

CSS로 영역 말고 위치를 지정해 줄 수 있다.

  1. static : 기본, 쓰지 않아도 자동으로 지정 되어있다.
  2. relative : 가장 상위에 있는 static을 기준으로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3. absolute : static을 제외한 상위 영역을 기준으로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상위 영역이 없다면 body를 기준으로 한다.
  4. fixed : 현재 화면의 왼쪽 상단을 기준으로 한다.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title>CSS Layout</title>
</head>
<body>
<div class="pos1">span1</div>
<div class="pos2">span2</div>
<div style="position:relative">
  <span style="background-color:gray">dfdssdfsjsovist nsovisniostisld</span>
  <div class="pos3">span3</div>
</div>
</body>
</html>
* {
  border:1px solid blue;
}

.pos1{
  position:static;
}

.pos2{
  position:relative;
  top:2px;
  bottom:5px;
  left:5px;
  z-index:1;
}

.pos3{
  position:absolute;
  background-color:red;
  left:2px;
  top:5px;
}

.pos4{
  position:fixed;
  color:blue;
}

이처럼 span2는 span1을 기준으로 마진을 둔 것이고 span3는 상위div를 기준으로 마진을 둔 것인데 그 div가 없다면 body를 기준으로 마진을 두었을 것이다.

'FRONT >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Front] CSS 기초  (0) 2020.06.11

HTML을 작성하는 방법과 정해진 룰이 있는것은 아니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 가이드라인이고 암묵적으로 행해지는 룰 같은 것이다.

  1. HTML 코드는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지만 소문자로 작성하는것을 권장한다.
  2. HTML 코드의 모든 태그는 시작과 끝을 작성하는 것을 권장한다.
  3. HTML의 속성 값( value )는 “”안에 작성하는 것을 권장한다.
  4. <img> 태그를 사용 할 경우 alt속성을 지정하고 width, height를 통해 크기를 지정하는것을 권장한다.
  5. 태그 내에 속성과 속성 값을 작성할 때 등호 사이에 공백을 쓰지 않는것을 권장한다. ex) <img alt=”공백 없이 작성” src = “공백 있이 작성”>
  6. 긴 코드 라인을 피해라
  7. <title> 요소를 건너뛰지 말고 작성해라
  8. <head>와 <body>태그를 작성하고 안에 정의하는 것을 권장한다.
  9. <meta>에 charset 속성을 통한 인코딩을 정의하는 것을 권장한다.
  10. viewport를 설정하는것을 권장한다.

'FRONT > Html' 카테고리의 다른 글

[Front] HTML input 태그(tag)  (0) 2020.06.13
[Front] HTML 태그(tag)  (0) 2020.06.10
[Front] HTML 기초  (0) 2020.06.03

[Front] CSS 기초

CSS

css는 html을 디자인하는 속성 혹은 문서를 의미한다. 

CSS는 Selector, property, value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CSS 적용 방법

html코드에 CSS를 적용하는 방법은 3가지가 있다.

 

1.inline : inline방식은 말 그대로 라인에다가 정의하는 방식으로 원하는 태그 내에 style 속성을 사용하여 CSS를 적용하는 것이다.

  • 형식 <태그 style=”속성 값”> *속성값이 여러가지인 경우 큰 따옴표 안에 모두 정의하고 속성 값마다 세미콜론(;)으로 구분해야한다.
  • selector =태그,id,class,   property , value=속성 값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title>CSS</title>
</head>
<body>
  <div>
    <p style="color:red; font-size:20px;">
      이곳은 문단입니다.
      색은 빨간색이죠.
    </p>
  </div>
</body>
</html>

이런 식으로 디자인 할 수 있다.

 

2. internel : 내부에서 정의 하는 방법으로 해당 html파일의 <head>태그 내에 <style>태그로 정의하면 된다.

  • 형식 : <style> 변경하고자 하는 태그 or id or class{ 속성 값 }
  • selector = 변경하고자 하는 태그, property, value = 속성 값
<!DOCTYPE html>
<html>
<head>
  <style>
    div {
      color:red;
      font-size:20px
    }
  </style>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title>CSS</title>
</head>
<body>
  <div>
    <p>
      이곳은 문단입니다.
      색은 빨간색이죠.
    </p>
  </div>
</body>
</html>

역시 똑같이 나오는것을 알 수 있다.

 

3. externel : 외부에서 정의하는 방법으로 해당 html외에 .css로 확장자가 css인 파일을 만들어 적용하고자 하는 html과 연결하여 사용한다.

  • 형식 : 형식은 internal <style>태그 내부에 정의 하는 방식과 같다. 다만 css는 style을 위한 파일이기 때문에 style태그를 정의 할 필요 없다.
  • 연결 방법 : <link rel=”stylesheet” href=”css파일의 경로” type=”text/css”>태그를 연결 하고자 하는 html의 <head>태그 내에 선언하면 된다.
/* CSS용 주석*/
div {
  color:red;
  font-size:20px
}​
<!DOCTYPE html>
<html>
<head>
  <link rel="stylesheet" href="css파일이름.css">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title>CSS</title>
</head>
<body>
  <div>
    <p>
      이곳은 문단입니다.
      색은 빨간색이죠.
    </p>
  </div>
</body>
</html>

결과 역시 셋다 같다.

4.혼합 : 가장 많이 쓰는 경우로 기본적으로 externel로 정의하고 특별한 부분만 inline이나 internel방식을 사용한다.

<!DOCTYPE html>
<html>
<head>
  <style>
    p {
      color:red;
    }
  </style>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title>CSS</title>
</head>
<body>
  <div>
    <p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20px;">
      이곳은 문단입니다.<br>
      글꼴은 굴림 입니다.<br>
      색은 빨간색이죠.
    </p>
    <p>
      이곳은 정상입니다.
    </p>
  </div>
</body>
</html>​

위와 같이 코드를 작성하면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는데 모두 적용됨을 알 수 있다.

id와 class

선언과 적용 방법 : 

이처럼 선언하여 아래처럼 적용하면 된다.

 /*클래스*/
 .red{
      color:red;
    }
 /*아이디*/
#blue{
      color:blue;
    }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title>CSS</title>
</head>
<body>
  <div>
    <p class="red">
      이곳은 클래스의 영역입니다.
    </p>
    <p id="blue">
      이곳은 아이디의 영역입니다.
    </p>
    <p class="red">
      이곳도 클래스의 영역입니다.
    </p>
  </div>
</body>
</html>

얼핏 둘 다 같은 기능을 하는것 처럼 보이지만 class는 여러번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id는 의미처럼 한번 사용할 수 있다. 이는 나중에 JS에서 getElementById()메서드를 통해 지정된 ID를 가진 요소에 엑세스 할 수 있다.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title>CSS</title>
</head>
<body>
  <h1 id="myId">이것이</h1>
  <button onclick="changeDis()">이걸 누르면</button>
 <script>
   function changeDis(){
     document.getElementById("myId").innerHTML = "이걸로 바뀝니다!"
   } 
 </script>
</body>
</html>

CSS의 적용 우선순위

css는 선언할 수 있는 경우의 수가 많고 겹칠 수 있기 때문에 우선순위를 잘 알고 사용해야한다.

1. inline>internel>externel : 같은 속성의 제어라면 inline의 영향을 받는다.

 

2. 태그 이름으로 속성을 정했다면 세부설정이 더 깊은 쪽으로 영향을 받는다. 이는 이해하기 어려울 것이므로 예를 통해 알아보자.

div{
  font-size:10px;
  color:red;
}

/*div영역 내에 p태그를 의미한다.*/
div > p {
  font-family:바탕체;
  color:blue;
}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title>CSS</title>
</head>
<body>
  <div>
    이곳은 div영역입니다.
  </div>
  <div>
    <p>
      이곳은 div영역이면서 p영역입니다.
    </p>
    나는 div영역 입니다.
  </div>
  <p>
    나는 그냥 p 영역입니다.
  </p>
</body>
</html>

이와 같이 작성하면 div안에 있는 p영역 또한 div의 영역이므로 div의 영향을 받지만 div > p 의 보다 세부적인 selector때문에 같은 속성을 가지는 색에 대해서 blue가 나온것을 알 수 있다.

 

3. id>class>element : id와 class의 영향을 동시에 받는다면 id를 우선적으로 받는다.

'FRONT >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Front] CSS Layout  (0) 2020.06.12
html 태그의 특징
  1. html태그는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다. 하지만 소문자를 권장하고 있다.
  2. 태그를 작성할때 <태그 속성=속성값(변수)> 형식으로 적는데 속성 값을 작성할 때 큰 따옴표가 필요하지 않는다. 하지만 큰 따옴표를 하는것을 권장한다. 
  3. 작은 따옴표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는 속성 값에 큰 따옴표를 사용해야 할 경우이다. ex)<p title=”John ‘ShotGun’ Nelson”>
html 태그와 CSS 태그
  1. <a> : 하이퍼 링크를 지원하는 태그 ex)<a href=”링크의 주소”>
  • 하이퍼 링크에 대한 속성이 있는데 
  • _blank : 링크된 문서를 새 창이나 탭에서 연다.
  • _self : 클릭 한 것과 동일한 창/탭에서 문서를 연다.
  • _parent : 부모 프레임에서 문서를 연다.
  • _top : 링크된 문서를 창 전체에서 연다.
  • <a href=”주소” target=”_blank”>이와 같은 형식으로 작성하면 된다.

책갈피 : 하이퍼 링크라고 해서 반드시 웹 주소만 값을 가질 수 있는것은 아니다.

<!DOCTYPE html>
<html>
<body>
<a href="#C4">이것을 누르면</a>
<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
<h2 id="C4">이곳으로 옵니다.</h2>
</body>
</html>

이와 같이 작성하면 href의 주소값과(반드시 #을 주소 가장 앞에 써야한다.)해당 문서의 id값과 일치하는 부분으로 이동 할 수 있다. 마치 웹의 맨위로 같은 버튼과 같은 것이다.

 

2.<p> : 문단을 지원하는 태그

위 코드를 작성하면 아래와 같은 결과를 볼 수 있는데

‘이것’에는 p태그가 없으나 앞뒤로 개행이 되어있는것을 볼 수 있다.

이처럼 p태그는 문자열을 문단으로 만들어주고 해당 태그 앞뒤로 개행문자가 포함되어있다.

  • title : 툴 팁이 표시되게 하는 태그로 <p title=”I’m a tooltip”>This is a paragraph.</p> 와 같이 적으면 title내부 값이 툴팁으로 표시된다.
<!DOCTYPE html>
<html>
<body>
<p title="I'm a tooltip">This is a paragraph.</p>
<p title=about w3schools>this is a ex</p>
이것
<p title="jhon 'sg'">p tag
pp tag
ppp tag</p>
</body>
</html>

 

3.<h1> : 제목을 작성할 때 규격화된 크기로 지정하는 태그로 숫자가 커질수록 크기는 작아진다. 제목인 header를 지정하는 태그이므로 p태그 처럼 앞뒤로 개행 문자가 존재한다.

  • style : CSS 속성중 하나로 꼭 h1태그가 아닌 다른 태그에서 해당 태그에 스타일 즉, 색상(color:blue), 글꼴(font-family:굴림), 크기(font-size:40px) 등과 같은 요소에 스타일을 추가할 때 사용하는 속성이다. h태그는 글자의 크기를 조절 할 수 있다. 여기에 style 속성으로 글씨 크기를 조절 한다면 어떻게 될까? 

<h1 style=”font-size:40px;”>heading</h1> 이와 같이 작성하면 글씨의 기본 크기가 증가하여 더 큰 h1태그를 볼 수 있다. *여기서 px는 픽셀을 의미한다.

 

4.서식 : 문자의 상태를 나타내는 태그

<!DOCTYPE html>
<html>
<body>
<b>굵은체 텍스트</b><br>
<strong>강조 텍스트</strong><br>
<i>이탤릭체 텍스트</i><br>
<em>중요한 텍스트</em><br>
<small> 작은 텍스트</small><br>
<mark> 강조 텍스트</mark><br>
이것은 <del>삭제될</del>텍스트<br>
이것은 <ins>추가될</ins>텍스트<br>
이것은 <sub>아래첨자</sub>텍스트<br>
이것은 <sup>위첨자</sup>텍스트<br>
</body>
</html>

 

 

5.인용

인용구를 표시 해 주는 태그로는 여러개가 있지만 <q>태그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

이와 같이 작성하면 인용구에 큰 따옴표 처리가 된다.

<p>이것은 <q>짧은 인용구 입니다.</q></p>

6.<img> : 웹에 이미지를 올리는 태그이다.

  • img 태그는 속성이 필수적이다.
  • src : 이미지의 경로(url)을 작성하는 속성이다.
  • alt : 이미지가 어떠한 이유던 보여지지 못했을 때 나오는 문구를 작성하는 속성이다.
  • style : 이미지의 크기를 설정하거나 이미지의 위치(글자 좌측, 우측)를 설정하는 속성이다.
  • usemap : 이미지를 클릭시에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 ex) <img src=”경로” alt=”원래 사진이 나와야 하나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style=”float:left; width:42px; height:42px;” usemap=”#map1">

7. <div>, <span> : 영역을 부여하는 태그이다.

어떠한 기능을 하진 않지만 영역을 설정하는 태그로 해당 태그 내에 작성 하게 되면 해당 부분을 하나의 영역으로 관리할 수 있다.

<div>와 <span>태그의 차이점

<!DOCTYPE html>
<html>
<body>
<div style="background-color:blue">영역1<br>여기도 영역1</div>
<div style="background-color:red">영역2</div>
<span style="background-color:purple">영역3</span>
<span style="background-color:yellow">영역4</span>
</body>
</html>

위 코드를 작성하게 되면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div>태그는 문자열이 작성된 줄 전체에 영역이 할당된다. 따라서 개행 태그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저절로 개행이 된다,.

하지만 <span>태그는 해당 문자열이 있는 부분만 영역이 할당되어 연속적으로 쓰게 되면 바로 옆에 오는것을 알 수 있다.

*<div>는 블록 레벨 요소, <span>은 인라인 레벨 요소라고 한다.

 

8.<table> : 표를 그리는 태그

<table> : 해당 태그의 시작과 끝 사이에 있는 태그와 문자열은 표을 그리기 위함이다라는 선언의 태그

<tr> : 표의 행(가로)를 나타내는 태그

<th> : 표의 헤더(세로)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당 열이 무슨 정보를 가지는지 나타내는 것이다.

<td> : 해당 칸에 들어가는 정보를 나타내는 태그

<!DOCTYPE html>
<html>
<body>
<table style="width:100%">
	<tr>
    	<th>이름</th>
        <th>성별</th>
        <th>주소</th>
    </tr>
    <tr>
    	<td>홍길동</td>
        <td>남자</td>
        <td>서울</td>
    </tr>
</table>
</body>
</html>

이처럼 테이블이 만들어진다.

  • border : 테두리 설정
  • padding : 패딩 설정
  • colspan : 둘 이상의 열을 합친다.
  • rowspan : 둘 이상의 행을 합친다.
<!DOCTYPE html>
<html>
<body>
<table style="width:100%" padding="15px" border="1">
	<tr>
    	<th>이름</th>
        <th>성별</th>
        <th>주소</th>
    </tr>
    <tr>
    	<td>홍길동</td>
        <td>남자</td>
        <td>서울</td>
    </tr>
    <tr>
    	<td>손오공</td>
        <td rowspan="2">여자</td>
        <td rowspan="2">강원도</td>
    </tr>
    <tr>
    	<td>삼장법사</td>
    </tr>
    <tr>
    	<td colspan="2">남자인 사오정</td>
        <td>경기도</td>
    </tr>
</table>
</body>
</html>

9. 리스트

  • <ul> : unordered list로 순서가 없는 리스트
  • <ol> : ordered list로 순서가 있는 리스트이다.
<!DOCTYPE html>
<html>
<body>

<h2>Unordered List with Square Bullets</h2>

<ul style="list-style-type:square;">
  <li>Coffee</li>
  	<ol>
    	<li>순서가 있는 리스트
    </ol>
  <li>Tea</li>
  <li>Milk</li>
</ul>

</body>
</html>

이처럼 순서가 있는 리스트 순서가 없는 리스트를 적용하면 되고 리스트 안에 리스트를 작성할 수도 있다.

  • <dl> : 설명을 지원하는 리스트
<!DOCTYPE html>
<html>
<body>
<ul style="list-style-type:square;">
<dl>
	<dt>Tea</dt>
    <dd>우려마실 수 있는 것</dd></dl>
</body>
</html>

 

10. <iframe> : 웹 페이지 안에 웹 페이지를 선언할 때 사용한다.

  • name : 해당 iframe과 연겨된 <a>의 target속성과 일치하여 <a>의 href URL이 iframe 안에 나오게 된다.
  • width, height 속성으로 크기를 지정할 수 있다.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title>CSS</title>
</head>
<body>
  <iframe src="웹페이지 안의 웹" name="ifr"></iframe>
  <p><a href="https://<www class="w3schools com" target="ifr">w3schools</www>"></a></p>
</body>
</html>

 

* 이곳 부터 태그는 보여주는 태그 모양을 잡는 물리적 태그의 의미라면 아래에 기재될 태그들은 의미를 갖는 태그들이다.

 

11.<script> : 자바스크립트와 id 값으로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다.

12.<head> : 해당 html의 선언, 설정에 대한 정보가 들어있는 곳이다.

  • <title> : 브라우저 탭에서 제목을 정의한다.
  • <style> : HTML페이지에 대한 스타일 정보를 정의한다.
  • <link> : 외부 스타일시트와 연결하는데 사용한다.
  • <meta> : 구성요소(문자세트, 페이지 설명, 키워드, 작성자 등) 에 대한 데이터를 지정하는데 사용한다. <meta>태그를 통해서 viewport를 제어 할 수 있다.

13. 여기서 viewport란 ?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이는 반응형 웹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width=device-width : 사용자의 화면의 크기, initial-scale: 초기 줌 상태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title>html</title>
</head>
<body>
<figure>
  <img src="java.jpg" alt="image">
  <figuration>이것은 ___사진입니다.</figuration>
</figure>
</body>
</html>

이와 같이 반응형 웹에 사용되는 경우 <img>태그 대신에 <picture> 태그를 사용하면 좀 더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다.

 

14. <code> : 컴퓨터 코드를 정의하기 위해사용된다.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title>JS Bin</title>
</head>
<body>
<p>
  이곳은 앞으로 코드가 작성 될 공간입니다.
  <code>
    <br>
    x=5;<br>
    y=6;<br>
    z = x + y;<br>
  </code>
</p>
</body>
</html>

 

15. <var> : 변수를 정의한다.

 

16. <section> : 섹션은 주로 주제별 콘텐츠를 구분하는 그룹이다. 아래와 같이 <section>태그를 사용하여 작성을 하게 된다면 별다른 개행 문자가 없어도 다른 섹션 끼리는 자동으로 분할되어 구분지어진다.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title>JS Bin</title>
</head>
<body>
<section>
 여기는 섹션 1 안이다.
</section>
<section>
  여기는 섹션 2 안이다.
</section>
</body>
</html>

 

17. <article> : 이 태그는 독립적이고 독자적인 컨텐츠를 지정한다. 이 태그를 사용할 수 있는 분야는 포럼 게시물, 블로그 포스트, 신문기사 등이 있다.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title>JS Bin</title>
</head>
<body>
여기는 일반 영역
<article>
  여기서 부터는 article 영역
  <h2>오늘의 주제</h2>
  <p>
    article 태그는 왜 필요한가?
    이 전까지는 주로 보여주는 부분에 의미를
    둔 태그가 많지만 이처럼 해당 부분이 가지는
    의미를 나타내는 태그도 있다.
  </p>
</article>
</body>
</html>

 

18. <header> : 해당 문서의 헤더를 지정한다.

 

19.<footer> : 해당 문서, 영역의 바닥 글을 지정한다. 일반적으로 작정자, 저작권, 연락처 등이 해당 태그 내에 기재된다.

 

20. <figure> : 이미지와 캡션을 그룹화 한다.

이것은 예시로 보는것이 빠르다.

'FRONT > Html' 카테고리의 다른 글

[Front] HTML input 태그(tag)  (0) 2020.06.13
[Front] HTML 작성 가이드  (0) 2020.06.11
[Front] HTML 기초  (0) 2020.06.0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