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키 생성
현재 실행중인 젠키스 사용자를 확인합니다. 특별하게 설정한 적이 없으면 jenkins 사용자로 사용중일 것이다.
ps aux | grep jenkins
현재 사용자를 jenkins로 전환한다.
sudo -u jenkins /bin/bash
전환이 완료되면 .ssh 디렉토리를 생성하고 해당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mkdir /var/lib/jenkins/.ssh
cd /var/lib/jenkins/.ssh
이후 해당 디렉토리에 ssh 키를 생성한다.
ssh-keygen -t rsa -f /var/lib/jenkins/.ssh/github_ansible-in-action
생성이 되었다면 ls -al 명령어로 키가 잘 생성되었는지 확인한다.
2. Github 연동
Jenkins로 연동하고 싶은 Github의 Setting 페이지로 이동한다.
Add deploy key를 누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그리고 ec2로 이동하여 공개키를 받는다.
cat /var/lib/jenkins/.ssh/github_ansible-in-action.pub
이처럼 공개키를 받을 수 있다.
이제 비밀키를 받아야 한다.
3. Github
이제 젠킨스 화면에서 Credentials -> System -> Global credentials로 차례로 이동한다.
이후 Add Credentials를 누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cat /var/lib/jenkins/.ssh/github_ansible-in-action
명령어를 통해서 비밀키를 복사하고 OK를 누르면 된다.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AWS EC2에 Jenkins 설치하기 (0) | 2020.02.20 |
---|---|
[AWS] AWS(Amazon Web Service) Cloud Computing의 기초 (0) | 2020.01.27 |
[AWS] 데이터 베이스(Database) (0) | 2020.01.27 |
[AWS] MySQL 과 AWS RDS 연결 (0) | 2020.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