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base(DB) : 여러사람에 의해 공유되어 사용될 목적으로 통합하여 관리되는 데이터의 집합
RDBMS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한 종류로 데이터 간에 연관 관계가 있는 데이터 항목들의 모음을 말한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열과 행으로 이루어진 테이블(Table)로 이루어져 있다. 대표적인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는 Oracle, MySQL, MariaDB 등이 있다.
RDS : 클라우드에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더욱 간편하게 설정, 운영 및 확장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즉, 고정적인 자원의 할당이 아닌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데이터 서비스이다.
Amazon RDS : 여러개의 DB 인스턴스 유형으로 제공되며 RDBMS의 종류인 Oracle, MySQL, MariaDB, PostgreSQL을 비롯하여Amazon aurora, Microsoft SQL Server까지원하는 DBMS를 선택할 수 있다.
AWS에서 데이터 베이스 서비스를 사용하는 두 가지 방법
- 직접 Amazon EC2에 데이터 베이스를 설치 : On-Premise에서 사용하던 데이터베이스를 그대로 사용하여 이질감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단, EC2에 설치 운용 전에 미리 마트너사를 통해 기존 라이선스를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 AWS에서 직접 제공해주는 데이터 베이스 서비스를 이용 : 데이터베이스의 설치 및 운영/관리를 Amazon에서 직접 제공하므로 별도의 운영/관리가 필요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Amazon RDS의 주요 특징
- 유연한 인스턴스 및 스토리지 확장 : 데이터 저장공간인 스토리지는 필요에 의해 유연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Provisioned IOPS(SSD)를 통해 빠른 데이터 처리나 대용량의 데이터 처리를 할 수 있다. 접속이 빈번하지 않은 워크로드의 경우 Magnetic을 사용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
- 손쉽게 사용 가능한 백업 및 복원 기능 : RDS는 자동 백업 설정을 통해 손쉽게 백업이 가능하다. 데이터 베이스는 최대 35일까지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으며, 스냅샷을 통해 DB를 생성할 수도 있다.
- 가용 영역의 멀티를 통한 고가용성 확보 : 가용 영역은 상호 간 물리적으로 분리된 독립적인 인프라를 제공하는데 주요 장애 상황 발생 시 자동으로 데이터베이스 장애 극복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고가용성을 지원한다. 또한 리전 간 데이터 이전이 쉽게 가능하다.
- 암호화 옵션을 통한 보안성 강화 : 옵션을 통해 One-Click을 통해 데이터에 대한 암호화 기능을 제공
- Database Migration 서비스 : 동종 혹은 다른 DB 엔진으로부터 RDS로 에이터에 대한 Migration 지원
이 글은 코드프레소 DevOps Roasting 코스를 수강하면서 작성한 글입니다.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jenkins와 github 연동 (0) | 2020.02.20 |
---|---|
[AWS] AWS EC2에 Jenkins 설치하기 (0) | 2020.02.20 |
[AWS] AWS(Amazon Web Service) Cloud Computing의 기초 (0) | 2020.01.27 |
[AWS] MySQL 과 AWS RDS 연결 (0) | 2020.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