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 www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 OSI-7Layer 중 응용계층 프로토콜 중 하나이다.
  • 웹 서버와 클라이언트는 HTTP를 통해 통신을 하게 된다.
  • 기본적으로 요청(request)와 응답(respose)로 이루어진 프로토콜로 HTTP 메서드, 요청 URL, 서버에 전달할 정보로 이루어져 있다.
참고(URL과 URI)의 간략한 차이점

URL은 URI의 하위 개념으로 인터넷 상의 자원의 위치이다.

https://news.naver.com/main/main.nhn?mode=LSD&mid=shm&sid1=102

위 주소를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위 주소 모두를 URL이라고 한다.

URI는 main부터 102까지를 URI라고 한다.

HTTP 방식의 특징
  1. Stateless(무상태) : Stateless방식의 프로토콜로 요청을 하고 응답을 하게 되면 연결을 끊어 버린다. 이와 같은 특성 때문에 Cookie(쿠키)와 Session(세션)이 생겼다.
  2. 연결을 끊어버리므로 인해 더 많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 할 수 있다.

https://denyok.tistory.com/48w

 

[Front] Cookie와 Session의 차이점

Cookie와 Session은 HTTP의 Stateless(무상태) 특징에 의해서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요청을하고 응답을 하면 연결을 바로 해제하고 객체를 소멸시켜버린다. 따라서 매번 요청을 할때마다 데이터가 ��

denyok.tistory.com

전에 작성한 부분을 참고하는것이 좋겠다.

HTTP 메서드
  1. Get : 정보를 요청할 때 사용한다. (Select)
  2. Post : 정보를 추가할 때 사용한다. (Insert)
  3. Put : 정보를 업데이트할 때 사용한다. (Update)
  4. Delete : 정보를 삭제할 때 사용한다. (Delete)
  5. Head : 정보의 헤더 부분만 확인할 때, 해당 자원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때 사용한다.
  6. Options : 웹 서버의 메서드의 종류를 확인할 때 사용한다.

'FRO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Front] Cookie와 Session의 차이점  (0) 2020.06.04
[Front] 웹(Web)의 구조  (0) 2020.06.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