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 Oracle의 초기설정
Oracle은 DBMS의 한 종류인 대표적인 RDBMS이다.
오라클을 사용하려면 초기설정을 해야하는데 우선 해당 포스트는
18c버전을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설치는 어렵지 않게 oracle사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그 뒤에 설정이 중요한데 설치가 완료되었으면 윈도우에서 cmd창을 띄운다.
그리고 cmd창에 sqlplus를 대뜸 적으면 위와 같이 사용자명을 입력하라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럼 설치하면서 작성한 루트계정에대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된다.
그러면 이와 같이 접속할 수 있다.
그 다음에
alter session set container=XEPDB1;
이라는 명령어를 치면 되는데 오라클은 MySQL과 다르게 컨테이너라는 것이 있는데 기본적으로 설정되어있는 컨테이너에서는 아무것도 할 수 없기 때문에 XEPDB1 컨데이너로 이동한다.
그리고 오라클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유저가 있는데 바로 hr이다. 그러므로 hr 유저에대한 사용권한과 비밀번호를 설정해야 한다. 물론 본인 고유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만들 수 있다.
이런식으로 하면 접속할 수 있다.
명령어 대부분을 차지하는 alter를 사용하게 되면 주로 대답이 ~~이 변경되었습니다. 로 나오게 되는것으로 보아 alter는 어떠한 설정을 변경하는데 사용하는 명령어라는 것을 유추 할 수 있다. 실제로도 맞다.
alter user hr identified by hr;
이 명령어는 alter user [ID] identified by [password]; 의 문법을 기준으로 사용한다.
여기서 또 유추해 볼 수 있는점은 alter가 수정이었다면 수정에 해당하는 alter를 생성으로 바꿔
create user [id] identified by [password];
이렇게 사용해 볼 수 있지 않을까? 해보자
역시나 생성이 된다. 앞으로는 기본 유저 말고 이 유저를 사용해볼 예정이다.
그럼 이제 사용하면 되느냐?? 아니다. 이제 막 들어온 신입한테 무슨 권한이 있겠는가?? 권한을 부여해보자
기본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초기 셋팅이라고 할 수 있다.
오라클은 tablespace라는 개념이 있는데 그 테이블 스페이스에 여러개의 테이블이 그냥 올라가게 된다. 그 테이블 스페이스의 용량을 차지할 수 있게하는(?) 권한을 준 것이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은 사실 sqldeveloper에서 해도 된다. 그리고 그곳이 아마 UI가 보기 좋아 편할것이다.
다음 포스팅은 이렇게 설치한 오라클을 가지고 기본적인 테이블 생성과 CRUD구문을 작성해볼 예정이다.
'DB(DataBase) > Orac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DB]JDBC를 통한 Oracle과 JAVA연동 (0) | 2020.05.13 |
---|---|
[DB] Oracle(오라클)의 기본적인 쿼리(CRUD) (0) | 2020.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