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라클을 설치하고 기본설정 하는 것은 이전 포스팅에서 완료 했다.

그리고 이번에는 DB가 무엇인지 오라클은 무엇인지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러한 DB를 사용하는 기본적인 쿼리문을 살펴보려고 한다.

  • 쿼리문은 SQL에서 사용하는 코드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DB란?

DB란 Data Base의 약자로 특정 관심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 데이터의 성격에 맞게 잘 설계하여 이를 저장하고 관리함으로서 효율적으로 그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이다. 즉, 쉽게 말하면 데이터는 실제 존재하는 값들이다. 이러한 값들의 특징에 맞게 틀을 만들고 그 틀에 맞게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공간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DBMS란?

DBMS란 Data Base Management System의 약자로 말 그대로 DB를 효율적으로 관리해 주는 일종의 프로그램이다. 그리고 DB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려면 데이터 추가(생성),불러오기,수정,삭제의 기능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데 이를 CRUD(Create, Read, Update, Delete)라고 한다.

그리고 이러한 DBMS에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는데 그중 가장 비중을 많이 차지하는 RDBMS에 대해 주로 알아볼 것이다.

RDBMS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데이터 베이스가 어떠한 관계가 맺어져 있다고 생각하면 편할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이후 포스팅 할예정이다.

RDBMS의 구조와 CRUD의 기본 문법

RDBMS는 기본적으로 테이블의 구조를 하고있다. 테이블구조는 쉽게 말하면 표 모양이다. 이는 아래 쿼리문을 학습하면서 알아보자

1. Create

  • Create는 말 그대로 생성하는 것이다. 생성을 할 때에는 아무렇게나 생성해서는 안된다. 여기서 DB의 정의를 다시 보면 DB는 “특정 관심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 데이터의 성격에 맞게 잘 설계하여 이를 저장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이다. 그렇다면 내가 저장하려고 하는 데이터의 특징을 먼저 파악해야한다.
  • 예를 들어 회원가입시에 필요한 User 테이블을 만들어보자.

전 포스팅까지 잘 따라했다면 이렇게 만들어져 있을 것이다.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를 새로 만드는데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는 저번에 생성한 그 본인 계정을 작성하면 된다.

기본적으로 Create 문은 Create [만드려고 하는 대상] [테이블명]( 데이터의 형태)로 구성이 된다.

데이터는 [데이터 속성] [데이터의 자료형] [데이터의 제약조건]으로 구성이 된다. 데이터의 속성은 데이터라면 마땅이 가져야할 특징,속성이다.

이번 유저 테이블을 예로 들자면 여러분들이 어떠한 사이트이든지 회원 가입을 하려면 필수적으로 작성해야하는 아이디나 패스워드 이름 등이 속성이 될 것입니다. 즉 유저를 정의하는 속성들인 셈이죠.

2. INSERT INTO

  • insert into 구문은 이렇게 만든 테이블에 데이터를 집어넣는 쿼리문 입니다.
  • INSERT INTO [table명] VALUES(‘속성1’,….);의 형태로 작성하게 되는데 이렇게 작성하려면 생성시에 작성한 데이터의 속성 순서대로 넣어야 한다. 그러려면 table안이 어떻게 구성되어있는지 알아야 하는 조건도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원하는 데이터만 넣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 그래서 대부분 아래와 같이 모든 속성의 이름을 적고 작성하게된다.

INSERT INTO cgvuser(id,password,name,gender,birth)
VALUES(‘test2’,’test2',’사오정’,’여자’,’2020–05–11');

#참고 — SQL문은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다. 하지만 구분하지 않으면 어디까지 명령어이고 어디부터 변수인지 한눈에 구분하기 어렵다. 따라서 기본적인 명령어는 대문자로 작성하는것이 좋다.

이제 데이터를 DB에 넣었으니 잘 들어갔는지 확인 해 보자.

3.SELECT

  • select문은 데이터를 검색할 때 사용하게 되는데 기본 구문은

SELECT [보고싶은 데이터 속성 명][][]… from [테이블 명];이다.

이 외에 SELECT는 여러가지 옵션이 있는데 이는 나중에 더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다.

이와같이 쿼리문을 날리면 아까 insert into 구문으로 저장해둔 두 개의 데이터를 볼 수 있다.

여기서 RDBMS의 구조를 볼 수 있는데 저러한 데이터의 모양이 마치 표처럼 구성되어있고 행과 열이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따라서 데이터의 속성 명을 column(열)이라 하고 데이터를 row(행)라고 한다.

4. DELETE

  • DELETE 구문은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이다. 기본 구문은
  • DELETE (from) [테이블 명];이고 이렇게 작성하면 테이블에 해당하는 모든 데이터가 삭제된다.
  • from 은 생략해도 된다.

이처럼 두개의 쿼리를 날리면 cgvuser에 해당하는 테이블에 있는 두 개의 데이터가 삭제된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4가지의 쿼리가 기본적인 쿼리문으로 CRUD에 해당하는 구문이다.

앞에 말한 SELECT에 해당하는 쿼리는 추가적으로 공부해야할 부분이 많을 것이다. 워낙 활용도가 높은 구문이기 때문에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따라 굉장히 많은 것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이도 나중에 정리해서 포스팅 할 예정이다.

'DB(DataBase) > Orac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DB]JDBC를 통한 Oracle과 JAVA연동  (0) 2020.05.13
[DB] Oracle의 초기설정  (0) 2020.05.12

+ Recent posts